파레토 법칙(80:20 법칙)이란? 간단 이해

여러분 파레토 법칙이라고 들어보셨나요? 그럼 80:20 법칙은요? 아마 이런 용어는 모르시더라도 전체 매출의 80%를 상위 20% 고객이 창출한다거나 상위 20% 사람들의 부가 전체 부의 80%를 가지고 있다는 등의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바로 이것이 파레토 법칙이라고 하는데요.

경제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이긴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적용되는 만큼 알아두면 유용한 용어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파레토 법칙에 대해 간략하게 핵심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그럼 출발~

파레토 법칙이란?

파레토 법칙은 1906년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가 이탈리아 토지의 80%를 이탈리아 인구의 20%가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 유럽 국가의 조사에서 얻은 경험적 법칙으로 상위 20%가 전체의 80%를 소유하거나 만드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매출에 있어 매출의 80%를 담당하는 상위 20%를 머리라고 부르고, 매출의 20%를 담당하는 하위 80%를 꼬리라고 부르죠. 하지만 여기서 80과 20은 정확한 수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결과의 대부분인 80이 소수의 20에 의해 결정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파레토 법칙은 기업의 매출뿐만 아니라 기업의 조직 원리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모든 직원이 일을 열심히 할거 같지만, 사실은 상위 20%의 머리만 열심히 일하고 나머지 80%는 20%를 따라간다는 것이죠.

여기서 또다시 상위 20%를 따로 모아도 이 안에서도 80대 20의 법칙은 유지된다고 합니다. 어디에서나 파레토 법칙은 존재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이 파레토 법칙의 의미가 쇠퇴하고 반대의 의미인 '롱 테일 경제'가 자리잡고 있다고 합니다. 기업의 매출을 좌우했던 20%보다 80%의 고객들이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상위 20%의 매출 못지 않는 매출을 보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롱 테일 법칙이 등장했다고 해도 상위 20%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것이아니라 하위 80%는 하위 80%대로, 상위 20%는 상위 20%대로 중요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는 파레토 법칙이 많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기업에 까지 말이죠.

오늘은 파레토 법칙(80:20 법칙)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평소 많이 느꼈던 것을 법칙으로 만든 것이라 쉽게 와닿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제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 바라며, 여기서 이만 포스팅 마칩니다.